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89

부동산 경매나 공매 투자를 위한 현장확인 사항을 살펴봅니다. 인플레이션, 글로벌 공급 침체까지 겹쳐 경기 침체에 대한 걱정이 많은 요즈음입니다. 경기침체기에 접어들면 경매나 공매 물건이 많아지고 감정가 대비 낙찰되는 금액인 낙찰가율도 따라서 떨어지게 됩니다. 다시 경매와 공매의 시절이 돌아오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네요. 저도 다시 경매와 공매 지식을 재확인해야겠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경매와 공매 부동산에 대한 현장조사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해볼까 합니다. 낙찰가율 낙찰가율(매각가율)은 감정가 대비 낙찰된 금액의 비율이다. 낙찰가율이 높을수록 경매 물건에 대한 평가치가 높다는 뜻이다. 자료출처 : 네이버 매일경제용어사전 첫째로, 부동산 공부, 감정평가서를 확인하고 경매, 공매 부동산 현장과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부동산 공부(등기사항증명서, 토지대장, 임야대장, .. 2022. 5. 19.
미국 주도의 IPEF 가입 확정, 중국과 미국간의 줄타기와 글로벌 공급망 확보라는 큰 숙제 남겼습니다. 미국이 주도하는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가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의 방한에 맞춰 공식 출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로나로 경제 침체의 초입에 있다는 평가가 우세한 가운데 우리나라는 IPEF 가입 확정을 계기로 해외 공급망 확보와 글로벌 투자처 확보 수단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평가입니다. IPEF(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이 주도권을 쥐기 위한 경제안보 동맹이다. 미국, 인도, 일본, 호주가 참여한 쿼드(Quad)는 정치, 군사, 안보 동맹의 성격이 강하다. IPEF는 기후환경, 디지털, 노동 등의 분야에서 새 국제규범을 마련하고 공급망 재편 등을 통해 중국을 고립시키는 반중국 연합전선이기도 하다. 2021.. 2022. 5. 18.
공인중개사 입장에서 본 건설 자재값, 인건비 폭등으로 올해 아파트 가격 오른다? 요즈음 인플레이션이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최근인 2022년 5월 11일에 발표한 소비자물가지수(CPI)가 8.3%에 육박했습니다. 시장의 예측치였던 8.1%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주식시장도 맥없이 무너졌는데요. 엊그제 코스트코에 장보러 갔다가 고기 가격을 보고 뒤로 넘어가는 줄 알았습니다. 이게 정녕 미국의 고기값이란 말인가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미국에서 7여 년을 살아본 저로서도 가격이 놀라웠는데요. 미국 사람들이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물가가 휘발유 가격과 고기 가격인데 말입니다. 정말 인플레이션이 심각한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5년간 발표자료입니다. 그래프만 봐도 인플레이션의 심각성을 금방 알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의 여파는 비단 휘발유값.. 2022. 5. 17.
토지 매수 전 현장답사 확인사항 및 준비사항 살펴보겠습니다. 토지를 재테크 수단으로 삼는 투자자는 이미 자본가의 반열에 올라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경우 그 자본가 주위에 부동산 전문가 지인이 항상 있게 마련이죠. 왜냐하면 이미 자본가는 어떤 전문가를 주위에 두어야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기 때문이죠. 오늘은 토지 매수 전 현장답사 시에 현장 확인사항 및 사전 준비사항에 대해 살펴볼까 합니다. 토지 전문가와 동행 토지 전문가와 동행하는 이유는 먼길 이동해서 토지를 보고 왔는데 갔다 오고 나서 '무엇을 봤더라'하고 생각이 든다면 시간만 낭비한 꼴이 되고 맙니다. 이런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려면 토지 전문가와 동행해서 무엇을 확인해야 하는지 정확히 알고 오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론 토지 전문가와 동행하지 않고 토지가.. 2022. 5.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