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전국 염소 경매장 위치와 염소고기 가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by 부동산 투자의 구루 2025. 4. 13.
728x90
반응형

 

전국 염소 경매장 위치와 염소고기 가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 소비자는 유럽처럼 양고기를 선호하지는 않지만 [개의 식용 목적의 사육, 도살 및 유통 등 종식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개고기의 식용 금지 이후 염소고기의 식용 수요가 많아졌다고 합니다. 

가격이 무려 4년 전과 비교해서 3~4배가 뛰었다고 합니다. 일부에서는 소사육 대신 염소사육으로 전환하는 축산농가도 많다고 합니다. 대체로 중량에 따른 가격은 15kg~110kg에 대해서 32만 원~165만 원 선이라고 합니다.

 

반응형

 

현실에서는 지방을 다녀보면, 불법으로 사설 가축 경매장을 차려놓고 불법행위를 하는 곳이 많습니다. 현행법으로 따지면 가축 도매시장은 축산업협동조합만이 영업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법을 방지하기 위해 전국에 염소 도축, 경매를 위해 현재 8개소 외에도 경매장이 추가로 들어서고 있다고 합니다. 

 

전국에 염소 경매장은 아래와 같이 총 8개소가 있다고 합니다. 


◆ 전국 염소 경매장 8개소


1. 전북 남원축협
2. 전남 강진완도축협
3. 전남 화순축협
4. 충북 충주축협
5. 충남 부여축협
6. 경북 의성축협
7. 경남 함양축협
8. 강원 강릉축협

* 2025년 3월 말 기준

 

염소 경매시장을 이용하기 위해서 농가에 요구하는 요건이 있습니다.

염소 경매시장 참여 농가요건

 

 

첫째로, 가축 방역을 위해 염소농가는 가축사육업등록이 되어 있어야하고, 둘째는 구제역 백신접종을 마친 염소에 한해서 경매 참여가 가능합니다.

경매장이 생기기 전에는 염소 고기는 암암리에 거래되어 중간 상인들의 의해 가격이 결정되어 판매가 이루어져 염소를 제값에 판매하지 못하고 소비자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수밖에 없었는데요.

 

 

염소 경매시장에서 양성적으로 거래가 되어 농가는 안전하게 제 가격을 받고 판매할 수 있고 소비자는 믿고 거래할 수 있는 기반이 제공되었습니다.

제가 중학교 때 인근에 소 경매, 도축장이 있었는데요. 지금 생각해보면 위생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되지 않는 그러한 환경이었던 것 같습니다. 

개고기가 식용으로 거래되었던 과거에 양성적이고 공식적인 도축장이나 경매장이 없어 매우 열악한 환경에서 도축되고 가격은 중간상에 의해 좌지우지되었는데요. 염소 경매장이 개설되어 이제는 양지에서 거래될 수 있는 장이 생겼네요. 


 


국내 90개의 경매시장이 개설되어 있는 한우와는 달리 염소의 경우 겨우 8개뿐인 경매장이지만 앞으로 더 추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농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국내 염소 사육현황을 살펴보면, 2024년 12월 말 기준 6,011 농가에서 520,998두가 사육되고 있다고 합니다. 

반면에 국가가축방역시스템에서는 12,250 농가에서 463,370두를 사육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고 합니다.

염소 사육에 대한 통계에서도 이러한 차이를 드러내는 것을 보면 아직 염소 사육에 대한 정확한 통계수치도 미비하고 한우처럼 이력제를 시행하지 않는 점 등 체계적인 관리가 시급하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