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BDI지수, 2022년 하반기에는 다시 반등을 할 수 있을까요?

by 부동산 투자의 구루 2022. 6. 9.
728x90
반응형

 

BDI지수, 2022년 하반기에는 반등을 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BDI지수의 움직임을 통해 향후 경제를 예측해보는 포스팅입니다. 2021년 뜨거웠던 주식 종목 중 하나로 해운주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해운주의 움직임과 궤적을 같이 하는 것이 DBI지수입니다. BDI지수는 앞으로의 경제성장을 나타내는 경기 선행지표로서의 역할을 하는데요. 지수가 높을수록 해운시황과 세계 경기가 호황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낮을수록 경기가 좋지 않고 바다에 떠다니는 선박의 수가 줄어든다는 의미입니다.

Pixabay로부터 입수된 Pawel Grzegorz님의 이미지 입니다.

아래의 표를 보시면 BDI지수가 2022년 5월 초중순부터 하락을 계속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년간의 BDI지수의 움직임을 보면 세계 경기가 하강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자료출처 : https://tradingeconomics.com/ , 5년간
자료출처 : https://tradingeconomics.com/ , 1년간

BDI(Baltic Dry Freight Index, 건화물지수)

세계 해운업계의 경기상황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수로 영국의 발틱해운 거래소가 1985년 1월 4일 기준(BDI=1.000)으로 발표하고 있는 건화물(벌크) 종합운임지수 1985년 1월 4일 운임수준을 기준(1,000)으로 삼고 석탄, 광석, 곡물, 건축자재 등 포장 없이 벌크선으로 운송하는 원자재에 대한 운임을 비교 평가하는 지수입니다. 

전 세계 주요 항로("뱃길" 또는 "바닷길"로 순화)의 선박 유형별 화물운임과 선박임차료 등을 종합해서 산출합니다. BDI가 상승한다는 것은 철광석, 석탄 물동량이 늘어나고 벌크선을 운영하는 해운업체의 실적이 개선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선박의 형태에 따라 BCI, BPI, BSI, BHSI 등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4가지 지수를 동일한 가중으로 평균을 산출한 다음에 BDI 팩터를 곱해서 산출합니다.

BCI : 18만톤 급 이상의 대형선박
BPI : 6~8만톤급 중형선박
BSI : 4~6만톤급 소형선박
BHSI : 2.5~3만톤 급 소형선박

자료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해양수산 용어사전

자료출처 : https://tradingeconomics.com/

BDI지수는 또한 원자재 교역량을 파악하는데도 활용됩니다. 경제 상황에 따라 각국의 원자재 수요가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경기가 좋아지면 산업 투자가 늘면서 철강 등 원자재의 수요도 당연히 함께 증가하게 됩니다. 결국 원자재를 실어 나르는 벌크선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운임(운송으로 치르는 비용)과 용선료가 오르고 BDI지수의 상승을 불러옵니다. 따라서 BDI지수는 전 세계 경기 상황과 해운 시황을 비롯해 원자재 수요, 해상운임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예를 들면, BDI지수가 10,000 포인트이고 하루 용선료(선박 임대료)가 200,000달러(약 2억4,000만원)짜리의 선박이 있다고 하면, BDI지수가 1,000포인트로 떨어지면 똑같은 선박을 1/10의 가격인 20,000달러(약 2,400만원)에도 빌릴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Pixabay로부터 입수된 Hands off my tags! Michael Gaida님의 이미지 입니다.

BDI지수는 선박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며 오늘 선박 1척을 빌리는 가격을 지수화했기 때문에 경기 상황을 민감하게 반영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국가에 의한 단순한 물동량의 증가일 경우 경기 회복의 신호로 보기는 어려울 수도 있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BDI지수와 비슷한 국내 지수로는 KMI(Korea Maritime Index)지수가 있습니다. 기존 BDI지수는 북미나 유럽에서 주로 이용되기 때문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극동지역의 시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에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태평양 및 극동지역을 중심으로 KMI지수를 개발했습니다. 전체 30개 항로의 운임을 통해 지수를 산출하며 1995년 1월 첫 주(1,000포인트)를 기준으로 산출한다고 합니다.

세계 경제가 어떠한 방향으로 움직일지에 대한 분석이 많습니다. 오늘은 그 경기 선행지표 중 하나인 BDI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투자자로서 관련 지식을 하나씩 쌓는다는 생각으로 배워봅시다. 모두 성투하시길 빕니다.

 

 

 

728x90
반응형